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석회고토2

석회고토 산성토양 개량 시 주의사항 (토양검정, 떼알구조) 토양의 비옥 여부와 작물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확인하는 것이 '토양검정 결과분석'입니다. 분석 결과에서 주요 관심은 토양산도(pH)로 '흙이 산성화 됐다'라고 합니다. 비료를 많이 줬는데 결핍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흙이 그 비료를 잡아서 식물이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을 '고정'이라고 합니다. 흙이 산성일 때 인산비료의 고정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산성토양에서는 인산의 결핍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인산은 비싸며, 산성토양을 개량하는 석회는 저렴한 비료입니다. 산성토양 개량 시 주의사항 석회를 넣어서 토양을 중성으로 개량해 주면 이미 있는 인산은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산성토양일 때 그 피해는 바로 비료의 효과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산성토양을 개량해야 합니다. 석회를 밭에 넣.. 2023. 4. 9.
비료(석회 고토, 요소 비료, 붕사 붕산) 사용 방법 차이점 토양에 유기물 없이 무기질 비료만 사용하면 미생물의 먹이가 없어 비료를 주어도 작물이 흡수하기 어려워집니다. 퇴비는 자연생성 무기양분(질소, 인산, 칼륨)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미생물의 먹이가 되어 분해 시 아미노산, 유기산, 핵산, 부식 등이 월등합니다. 가축분뇨는 계분, 돈분, 우분 순으로 계분이 양분 함유량도 많고 가스도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첨가 부산물로 톱밥, 왕겨, 버섯, 해조류 등을 혼합한 뒤 판매합니다 비료의 종류 석회고토 우리나라는 대부분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토양 자체가 산성입니다. 실제로 토양은 물만 줘도 산성으로 변하고, 미생물의 활동, 화학비료 사용, 식물이 양분을 흡수하는 행위 자체만으로 자연적으로 산성화가 진행됩니다. 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해 보통 석회질 비료를 사용하게 되는데.. 2022. 9.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