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속혈당측정기사용법1 연속혈당측정기 구성과 작동방식, 사용 시 주의사항 연속혈당측정기는 센서, 트랜스미터, 리시버 이렇게 세 파트로 구성됩니다. 센서는 유연한 바늘에 피부에 삽입해 간질액을 통해 혈당을 측정합니다. 혈액이 아니라 간질액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혈액으로 측정하는 방식에 비해 5~15분의 혈당 수치 지연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도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실제 혈당 수치에 근접하고 있는데 센서가 자동으로 측정한 혈당 수치는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1~5 분마나 블루투스나 NFC 태깅을 통해 리시버나 리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의 앱으로 전달합니다. 연속혈당측정기 작동 방식 최초의 연속혈당측정기는 1999년 FDA 승인을 받은 메드트로닉 제품이 2006년에는 덱스콤의 연속혈당측정기가 승인을 받으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트랜스미터(송신기) 연속혈당측정기 센.. 2022. 12. 13. 이전 1 다음 반응형